임종찬과 함께

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후보물질(안) 선정결과 (출처.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) 본문

GHS-MSDS 관련(화평법, 화관법)

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후보물질(안) 선정결과 (출처.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)

임종찬과 함께 2014. 11. 3. 12:58

  

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후보물질() 선정 결과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후보물질안선정결과_10[2].31.hwp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붙임_등록대상물질후보목록_20141031[2].pdf

 

 

제도 개요

 

          ○ (제도취지) 그간 관리가 미흡했던 기존화학물질까지 유·위해성 심사·평가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상에 포함함으로써 국민의 건강 및 환경의 보

 

         ○ (지정대상) 환경부장관은 화학물질의 국내 유통량, ·위해성 정보를 고려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여 3년마다 고시

 

           * 기초자료 : 보고현황(화평법) 및 통계조사(화관법), 국내외 연구자료 등

 

         ○ (등록유예기간) 등록없이 제조·수입이 가능한 3(고시시점부터 3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등록유예기간 부여

 

         ○ (지정절차) 국립환경과학원장 후보물질 목록 작성·제출==> 환경부장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사전예고==> 화학물질평가위원회 심의==> 지정·고시(관보)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※ 근거법령 : 화평법 제9, 10조제2, 시행령안 제9, 시행규칙안 제9

 

 

. 추진경과

 

           ○ 화평법 하위법령 협의체(‘13.8)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 - 최초 등록대상 500 지정, ‘14.10월까지 사전예고하도록 합의

 

           ○ 후보물질 선정을 위한 1차 전문가회의(‘14.6.16)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(참여자) 전문가, 산업계 등 20명 참여 ==>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(논의내용) 최초는 유해성 위주 선정, 톤수범위별 물질·업체 분포비율 고려

 

           ○ 후보물질 선정을 위한 2차 검토회의(‘14.9.2)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(참여자) 학계·전문가 위주로 10명 참여 ==> (논의내용) 국내 유통량도 고려,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안전성시험 물질, OECD 공동평가 물질 등 중소기업에 등록용이한 물질도 고려

 

            ○ 화평법 하위법령 협의체 검토(‘14.10.24)

 

. 1차 후보물질() 선정개요

 

후보물질 선정원칙 : ·위해성정보 + 유통량 고려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  ※ 선정 기초자료

 

          - (·위해성) 국내에서 관리하고 있는 유해화학물질(유독물 등)UN, EU, 미국 등 의 발암성, 생식독성  등 유해성정보에 기초

 

           - (유통량) 화평·화관법 시행 전이므로 유해화학물질관리법(이하 유해법) 의한 2010년 유통량조사 결과, 유독물 실적보고자료 활용

          ① 유해법에서 지정·관리되고 있으며 일정량 이상 유통되는 물질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(유해성) 유독물·관찰물질·취급제한물질 이외에 배출량조사 대상물질,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사고대비물질 등도 포함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(유통량) 유독물·관찰물질·취급제한물질은 1톤 이상, 배출량조사 대상 등은 10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이상, 현안물질(가습기 살균제 피해 원인물질 등)은 유통량과 무관하게 선정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===> 421종 선정

 

      기대효과

      - 등록시 용도별 노출정보 확인, 위해성평가를 거쳐 허가물질·제한물질 등으로 지정하여 엄격관리 가능

 

      - 추가 확보된 물질정보에 따라 물질별 관리대책 수립에 활용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 ② 외국에서 발암성·환경유해성 등으로 분류하고 있는 일정량 이상 유통 물질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(유해성) EU의 허가·제한물질 이외에 국제암연구소, EU 분류표시, 미국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국가독성프로그램이 정한 발암성·돌연변이성·생식독성물질(CMR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수생환경독성물질을 포함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(유통량) EU 규제물질(제한물질 등)을 우선적으로 선정하고, 그 외의 10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이상 물질을 대상으로 선정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===> 97종 선정 (선정기준과 중복되는 물질 포함시 254)

 

      기대효과

      - 외국에서 관리하는 물질들을 지정함으로써 해당 물질의 수입을 간접적으로 통제하고, 나아가 친환경적 대체물질 사용 유도

 

         ⇒ 1차 등록대상 지정 이후 2, 3차 등 순차적으로 지정 예정

 

. 향후 계획

 

        ○ 1차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후보물질() 사전예고(‘14.10.31)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환경부(산업계지원단 포함과학원·협회 홈페이지에 게시

 

        ○ 후보물질()에 대한 전수조사 및 현황 분석 실시(‘14.11’15.3)

 

        ○ 화학물질평가위원회 심의(’15.3)

 

        ○ 1차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지정·고시(’15.6)

 

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 첨부파일 : 1차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후보물질()

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후보물질안선정결과_10[2].31.hwp
0.02MB
붙임_등록대상물질후보목록_20141031[2].pdf
0.11MB