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후변화
뉴스레터 제152호_국제환경규제기업지원센타
임종찬과 함께
2013. 4. 8. 16:44
 |
|
 |
 |
 |
|
 |
|
 |
|
 |
 |
불가리아, 폐건전지 및 충전지 회수에 대한 은행지급보증(Bank guarantee) 제도 채택 |
|
불가리아 위원회(Council of Ministers)는 ‘12년 12월 27일에 폐건전지 및 충전지의 회수 및 재활용 처리 목표달성을 위해 폐건전지 및 충전지 회수에 대한 은행지급보증(Bank g |
 |
EU, REACH 2013년 신규 등록 물질의 40% 등록 완료 |
|
2013년 3월 20일, 유럽화학물질청(ECHA)은 홈페이지에 통해 2013년 5월 31일 마감 예정인 REACH 2차 본등록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였습니다. 이번에 최초로 등록이 예상되는 3,100종의 |
 |
유럽화학물질청, REACH 신고 의무 이행 촉구 |
|
2013년 3월 21일, 유럽화학물질청(ECHA)은 유럽 내에서 허가후보물질(SVHC Candidate List)이 포함된 완제품을 공급하는 회사들의 신고의무 이행을 촉구하도록 회원국별로 좀 더 강력한 조치를 |
 |
헝가리와 폴란드, WEEE 지침 개정안 채택 |
|
최근 헝가리와 폴란드는 폐전기전자제품의 회수에 대한 개정안을 발표하였습니다. 이는 전기전자제품의 생산기업 및 유통업자와 소매업자로를 통해 국가에서 폐전기전자제품을 관리하기 위함입니다. 먼저, 헝가리 도시개발 |
 |
일본, 우선평가대상물질 2종 추가 지정 |
|
2013년 3월 22, 일본은 우선평가대상물질에 2종의 물질을 추가하였다고 관보를 통해 고시하였습니다. 이로써 우선평가대상물질은 총 140종이 되었습니다. 일본 화심법에 따라 우선평가대상물질의 생산자 및 |
 |
스웨덴, 2015년까지 내분비교란물질에 대한 법안 제·개정을 요청 |
|
2013년 3월 14일, 유럽의회는 스웨덴이 작성한 내분비교란물질(EDC,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)의 노출저감보고서를 채택하였으며, 해당 보고서는 보건 및 환경위원회를 포함하여 |
 |
미국 환경청, 유해화학물질목록에 오쏘-나이트로톨루엔(o-nitrotoluene) 추가 제안 |
|
2013년 3월 13일, 미국 환경청(EPA)은 오쏘-나이트로톨루엔(o-nitrotoluene)을 비상계획 및 지역사회 알권리에 관한 법(EPCRA, Emergency Planning and Community | |
 |
|
|
|
 | |
|
| |